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'시민덕희'에는 고수익 채용 광고에 속아 강제로 중국 콜센터에서 일하게 된 청년이 등장합니다. <br /> <br />"정말로 나가고 싶어요." <br /> <br />실제로 이런 사례는 빈번한데, 최근에는 해외 취업의 꿈을 안고 온 청년을 감금하고 범행에 가담시켜 수백억 원을 끌어모은 투자 사기 일당이 붙잡히는 일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발생지는 주로 미얀마와 라오스, 태국이 만나는 '골든 트라이앵글' 지역, 관련 피해 규모 역시 급증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2년 전체와 올해 상반기를 놓고 비교했을 때 피해자는 50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6개월 집계만으로 지난해 전체 수치를 뛰어넘었을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캄보디아로 무려 100명을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 같은 고수익 미끼 해외 취업 사기행각이 온라인 구인 광고를 통해 일상 곳곳을 파고들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 취재진 역시 어렵지 않게 모집 공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에서 일할 상담 직원 채용 공고를 보고 연락해보니 1분도 채 지나지 않아 답장이 옵니다. <br /> <br />여유로운 근무 조건을 쉼 없이 읊으며 일주일에 최대 5백만 원도 손에 넣을 수 있다고 현혹합니다. <br /> <br />채용절차법상 엄연한 처벌 대상인 '거짓 구인 공고' 자체가 올라오지 않도록 정부의 철저한 감독이 필요하다는 지적의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관련해 정부는 지난해 말부터 거짓 구인광고 신고 센터를 운영하고 있고 수사 의뢰나 계정 정지 같은 적극적 조치를 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한정된 인력과 예산 속 해외 기반 취업 공고보다 국내 모집 공고 관리에 비중을 상대적으로 더 둘 수밖에 없는 것 역시 현실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단 피해가 발생하면 학대와 감금 등 위험성 또한 훨씬 크다는 점에서 근본적 대처가 필요하단 목소리는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지연 / 국민의힘 의원 : 최근 온라인을 통한 구인·구직 경로가 다양해지며, 취업 사기 수법은 더욱 교묘해지고 있습니다. 취업 사기 의심 사업장에 대한 정부 차원의 철저한 모니터링과 단속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지난 7월 기준,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'그냥 쉬었다'는 청년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가운데, 구직 시 급여의 적정성과 고수익 강조 여부, 업무의 명확성 등을 꼼꼼히 따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다연입니다. <br /> <br />자막뉴스ㅣ이미영, 고현주 <br /> <br />※ '당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01010003302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